틱톡 관련주 대장주 5 종목 정리

틱톡 관련주 편입 이유와 기업소개, 현재 주가를 알아보겠습니다. 관련주 종목에는 FSN, 키다리스튜디오, YG PLUS, 와이즈버즈, 플리토 기업이 있습니다. 대장주는 뉴스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틱톡이 2025년 미국에서 최대 소셜네트워크 플랫폼이 될 것으로 전망이 있습니다. 2025년 미국 18세 이상 성인이 하루동안 틱톡을 이용하는 시간은 총 51억 9000만 분에 달해 페이스북의 50억 2300만 분을 넘어설 것이란 예상입니다.

틱톡은 미국에서 월간 성인 사용자 수에서도 약 8230만 명을 기록하며 인스타그램의 1억 1840만 명을 뒤쫓고 있습니다.


1. FSN


틱톡 관련주 편입 이유

아시아 자회사 비헤이브글로벌이 틱톡의 1급 공식 마케팅 대행사 지위 확보.


틱톡 관련주 FSN 주가 일봉 차트

FSN 현재 주가 알아보기


FSN 주식 기업소개

  • MARKETING, TECH, COMMERCE, GLOBAL에 이르는 핵심 사업영역을 중심으로 미래 산업의 밸류체인을 완성해 나가는 국내 최대 디지털 마케팅 그룹.
  • 한국을 중심으로 태국, 베트남, 싱가포르, 대만, 중국 등 동남아시아 자회사 네트워크 보유.
  • ’07년 설립 후 애드테크 업계 최초 ’16년 코스닥 상장, 우수한 마케팅과 TECH 역량을 기반으로 플랫폼, DEX, NFT, 종합 디지털 자산관리 등 다양한 미래사업 추진.


2. 키다리스튜디오


틱톡 관련주 편입 이유

틱톡 모회사 바이트댄스로부터 투자유치 이력.


틱톡 관련주 키다리스튜디오 주가 일봉 차트

키다리스튜디오 현재 주가 알아보기


키다리스튜디오 주식 기업소개

  • 1987년 7월에 설립되어 현재 웹소설 및 웹툰 콘텐츠 플랫폼 서비스, 영상사업을 주된 사업목적으로 하고 있음.
  • 글로벌 종합 콘텐츠 기업으로써 봄툰, 레진코믹스, 델리툰이라는 자체 웹툰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으며 타 플랫폼에 웹툰 및 웹소설 서비스를 제공함.
  • 다양한 콘텐츠들의 근간이 되는 IP((Intellectual Property))를 확보하고, IP를 활용한 콘텐츠 제작을 위해 힘쓰고 있음.



3. YG PLUS


틱톡 관련주 편입 이유

2020년 푸가와 계약을 통해 틱톡 등 플랫폼에 음원 유통 추진.


틱톡 관련주 YG PLUS 주가 일봉 차트

YG PLUS 현재 주가 알아보기


YG PLUS 주식 기업소개

  • 음반 및 음원 유통과 음악서비스, MD제조 및 유통, 광고대행사업을 영위하기 위해 1996년 11월 설립됨.
  • YG엔터테인먼트 등 소속 아티스트의 음반 및 음원 유통사업과 음악 플랫폼 운영대행사업, 아티스트 MD/캐릭터 제작 및 판매사업, 광고대행사업 등을 전개하고 있음.
  • 종속회사로는 YG인베스트먼트(투자), 그린웍스(골프), 코드코스메인터내셔널이 있음.


4. 와이즈버즈


틱톡 관련주 편입 이유

글로벌 비디오 플랫폼 틱톡의 2021년 ‘틱톡 마케팅 파트너 프로그램’ 크리에이티브 부문 파트너사로 공식 선정.


틱톡 관련주 와이즈버즈 주가 일봉 차트

와이즈버즈 현재 주가 알아보기


와이즈버즈 주식 기업소개

  • RTB 매체 (페이스북, 구글 등)를 기반으로 온라인 광고 대행, 모바일 광고의 기획, 공급효과분석 및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을 주요사업으로 영위.
  • 광고주를 대신하여 해당 광고의 전략에서부터 광고 집행, 관리, 분석, 이슈 대응, 기술적 지원, 광고 소재 제작 및 데이터 등 디지털 광고 전 과정에 걸친 서비스를 제공.
  • 현대차/기아를 메인으로 하고 있는 이노션(현대 자회사)은 동사의 가장 중요한 파트너 사 중 하나임.


5. 플리토


틱톡 관련주 편입 이유

틱톡으로 잘 알려진 중국 유니콘 기업 바이트댄스와 장기적 파트너십 체결을 통해 AI 학습에 필요한 언어데이타를 공급.


틱톡 관련주 플리토 주가 일봉 차트

플리토 현재 주가 알아보기


플리토 주식 기업소개

  • 2012년 8월 24일에 설립되었으며, 주요사업은 언어 데이터 판매 및 플랫폼 서비스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음.
  • 플랫폼을 통해 수집된 말뭉치(orpus)를 집단지성 및 검수 과정을 거쳐 정제. 이후 언어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국가 연구기관 또는 IT 산업 내 기업고객에게 판매.
  • 데이터 판매, 플랫폼 서비스, 기타 지급수수료 등 지급수수료와 포인트비용을 원재료로 인식. 따라서 생산설비 등을 통한 재고자산 내역 존재 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