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텔 관련주 편입 이유와 기업소개, 현재 주가를 알아보겠습니다. 관련주 종목에는 퀄리타스반도체, 인텍플러스, 레이저쎌, 칩스앤미디어, 피에스케이, ISC, 원익QnC, 월덱스, 지앤비에스 에코, 넥스틴, 코미코, 유진테크 기업이 있습니다.
인텔은 미국의 데스크톱용 CPU를 중점적으로 설계하는 종합반도체 기업입니다.
인텔의 공장과 제품 개발 사업부를 매각할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테슬라 일론 머스크를 포함해 미국 글로벌 파운드리, 퀄컴 등이 인수 후보자라는 분석이 있습니다.
인텔은 미 반도체 지원법의 핵심 기업이라고 평가될 만큼 미국 정부의 반도체 산업 육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인텔 대장주는 뉴스와 이슈에 따라서 달라지며 테마주와 수혜주입니다.
1. 퀄리타스반도체
인텔 관련주 편입 이유
인텔 AI CPU ‘루나 레이크’ 호환 PHY v1.5a 개발. eDP v1.5 수신기 PHY IP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해상도에 적용할 수 있음.

퀄리타스반도체 기업소개
- 초고속 인터페이스 IP 라이센싱 및 반도체 디자인 서비스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파운드리를 이용하는 SoC 개발사 및 디자인하우스 등을 대상으로 IP 라이센싱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2020년부터 지속적으로 다수의 IP를 양산함에 따라 안정적인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 초미세 반도체 공정인 FinFET 공정에 설계 및 검증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최첨단 반도체 공정에서의 개발 및 양산 이력을 확보함.
2. 인텍플러스
인텔 관련주 편입 이유
인텔 공식 협력사로 반도체 검사장비 공급. 시스템 온칩(SoC) 등 대형 칩의 6면 외관검사 담당.

인텍플러스 주식 기업소개
- 반도체 외관검사분야, 반도체 Mid-End 분야, 디스플레이 분야, 2차전지 외관검사 장비의 제조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음.
- 외관검사장비 제조 전문 기업이며, 특히 반도체 외관검사분야, 반도체 Mid-End 분야, 디스플레이 분야, 2차전지 외관검사 장비의 제조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음 해외 시장 확대를 위해 분야별 영업Network를 확보하여 적극적인 해외 고객 발굴 및 시장확대를 진행중임.
3. 레이저쎌
인텔 관련주 편입 이유
2024년 인텔과 마이크론으로부터 대규모 ‘LC본더’ 발주 예상 소식이 있었음. LC본더는 반도체 패키징 공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장비.

레이저쎌 주식 기업소개
- 면광원 에이리어 레이저 기술을 바탕으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및 2차전지 후공정에 해당하는 패키징 공정 중 본딩과정에 사용되는 장비를 개발 및 제조하고 있음.
- 보유한 핵심기술을 바탕으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및 2차전지 후공정에 해당하는 패키징 공정 중 본딩과정에 사용되는 장비를 개발 및 제조. 주요 제품으로 rLSR, LSR, pLSR 등이 있음. 동사의 장비에 장착되는 BSOM과 NBOL 디바이스를 사업 영역으로 확장하고 있음.
4. 칩스앤미디어
인텔 관련주 편입 이유
칩스앤미디어는 인텔 자회사 모빌아이에 설계자산을 공급하면서 부각된 바 있음.

칩스앤미디어 주식 기업소개
- 소프트웨어 개발 산업으로 시스템 반도체 설계 자산(IP) 개발 및 판매를 사업 목적으로 함.
- 반도체 칩 제조사에 비디오 IP를 라이선스하고, 고객사는 동사의 기술을 활용하여 스마트폰이나 디지털TV 등에 들어가는 반도체 칩을 설계, 개발 및 제조하여 납품함.
- 매출은 고객사에 IP를 공급할 때 받는 라이선스, 이를 활용해 만든 반도체칩을 판매할 때 받는 로열티, 유지보수에 해당하는 용역으로 구분함.
5. 피에스케이
인텔 관련주 편입 이유
인텔 우수 공급업체로 선정됨. 반도체 웨이퍼 가공 장비 생산.

피에스케이 주식 기업소개
- 피에스케이홀딩스에서 전공정 장비 부분만 독립하여 설립 된 반도체 장비 회사로 PR Strip 장비 글로벌 1위 기업임.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외 글로벌 업체들을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으며, 램리서치(미국), Mattson Tech(중국), 히타치(일본) 등과 경쟁함.
- 주요 사업 부문은 반도체 공정 장비 부문과 기타 사업 부문 등으로 구성되어 있음.
6. ISC
인텔 관련주 편입 이유
반도체 테스트 소켓 업체로 인텔 등이 고객사.

ISC 주식 기업소개
- 반도체 및 전자부품 검사장비의 핵심소모부품인 후공정 테스트 소켓 제품 생산을 목적으로 설립되어, 2007년 10월 코스닥에 상장함. 주력사업은 반도체 IC와 IT 디바이스등을 테스트하는 반도체테스트솔루션 사업임.
- 반도체테스트용 실리콘러버소켓은 글로벌 시장 약 90%를 점유하고 있음. 신 사업으로 mmWave(28GHz) 5G 안테나용 FCCL 제조를 위한 신사업을 추진 중에 있음.
7. 원익QnC
인텔 관련주 편입 이유
인텔이 고객사. 반도체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쿼츠웨어 전문업체(반도체용 석영유리).

원익QnC 주식 기업소개
-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에 사용되는 석영제품(쿼츠)와 산업용 세라믹을 제조하는 업체로 2003년 11월 원익으로부터 기업분할로 설립됨.
- 사업부문은 쿼츠, 세라믹, 램프, 세정 및 쿼츠원재료 등 5개이며, 쿼츠부문은 4개, 쿼츠원재료 부문은 9개, 세정부문은 3개의 해외 종속기업을 포함하고 있음. 2020년 미국의 반도체용 소재 전문회사인 모멘티브사의 쿼츠/세라믹 부문 4개사를 인수함. 2022년 11월 일본 쿠러스텍을 인수함.
8. 월덱스
인텔 관련주 편입 이유
인텔 등을 고객사로 확보. 반도체 소재, 부품업체로 실리콘 부품, 쿼츠 부품을 주력으로 함.

월덱스 주식 기업소개
- 반도체 에칭 공정에 사용되는 반도체용 실리콘 전극과 링을 제조 판매 전문회사로 성장하며 이를 바탕으로 파인세라믹부분으로 사업 범위를 확대함.
- 종속회사인 WCQ를 적극 활용하여 고객과 밀접한 관계를 통해 직납 비중 규모 확대와 해외 시장 개척을 통해 국내 뿐 아니라 수출 비중을 확대하고 있음. 실리콘 중심의 제품 포트폴리오에서 벗어나 세라믹을 통한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시장진출을 시작으로 업무영역을 확대해 나갈 계획
9. 지앤비에스 에코
인텔 관련주 편입 이유
인텔, SK하이닉스 등이 주요 고객사. 반도체, 디스플레이 생산공정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 분진을 정화하는 스크러버, 파우더 트랩 등 제조.

지앤비에스 에코 주식 기업소개
- 태양광, 반도체, 디스플레이, 발전소 등 다수의 핵심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유해 가스, 분진 등을 처리하는 공정장비를 개발 및 공급하고 사업 영위 중.
- 주요 제품은 스크러버(Scrubber), 질소산화물처리설비(De-NoX) & E.P시스템, 플라즈마 백연 제거장치, 파우더 트랩 등임. 주요 수출국은 높은 스크러버 시장 점유율이 있는 중국과 본격적으로 태양광 산업에 투자하고 있는 미국, 인도임.
10. 넥스틴
인텔 관련주 편입 이유
인텔과 협력해 반도체 전공정 검사장비 개발 이력 (3D 크로스포인트 제품을 검사할 수 있는 제품에 대해 공동 R&D 진행).

넥스틴 주식 기업소개
- 전공정(Front-end Process)반도체 소자의 회로 제작 공정에서 발생하는 미소 패턴 결함을 검출하는 웨이퍼 미소 패턴 결함 검사 장비를 제조 및 판매함.
- 동사가 제조하는 검사장비는 미소 패턴 결함(Pattern Defect)과 이물(Particle)을 광학 이미지 비교방식으로 검출하는 장비임. 또한, 국내 및 해외 메모리 소자 업체와 비메모리 소자 업체 등 다양한 판매처를 확보하였음.
11. 코미코
인텔 관련주 편입 이유
인텔과도 협력 추진. 반도체 부품 세정 및 코팅 장지 생산. 반도체 온도를 조절하는 챔버도 생산하며 미국 오스틴에 공장 보유.

코미코 주식 기업소개
- 미코의 정밀세정, 특수코팅 사업부문의 독립성과 전문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물적분할을 통해 신설된 회사임. 2023년 7월 모회사 (주)미코로 부터 반도체 장비용 세라믹 부품 생산 업체인 (주)미코세라믹스를 인수하여 중간지주사로서 역할하게 됨.
- 삼성, SK하이닉스, 인텔 등을 주요 거래처로 두고 있으며, 한국, 미국, 중국, 대만, 싱가포르 총 5개국에서 국내외 장비사를 대상으로 사업을 영위함.
12. 유진테크
인텔 관련주 편입 이유
과거 인텔 생산라인에 증착장비 납품 이력. 원자층 장착(ALD) 장비 생산(반도체 기판 위에 박막을 성장시키는 공정에서 활용).

유진테크 주식 기업소개
- 반도체 박막을 형성하는 전공정 프로세스 장비를 개발, 생산하는 반도체 전공정 장비 업체.
- 반도체 소재 부문에서는 국내 반도체 소자업체에 DRAM 캐패시터용 고유전율 물질 박막 증착에 필요한 전구체의 판매량 증진에 집중함.
-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 유수의 글로벌 반도체 회사들과 제조장비 공급계약을 체결함.